우리가 이상적인 체지방률을 위해 우선 알아두어야 할 점은 기계로 측정하는 근육량과 지방량은 전류를 통과시켜 수분을 통해 간적접으로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인바디 데이터는 측정하는 시간에 따라, 전날에 어떤 음식을 먹는지, 여성의 경우 생리 주기에 따라 호르몬의 영향으로 체액량이 정체될 수 있기 때문에 오차가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결국 너무 인바디 숫자에 의존하지 말고, 하나의 지표로서 참고만 하는 것이 더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미국 운동 협의회(ACE)에 따르면 나이를 구분하지 않고 평균을 냈을 때 성별에 따른 체지방률은 각각의 범주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분류합니다. 하지만 동일한 체지방률이라 하더라도 사람의 키와 체형, 근육량에 따라 많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몸과 아름다움 : 남성과 여성의 신체 구성에 따른 건강과 매력) 흥미로운 실험 하나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 연구는 플로스원 저널에 실린 호주 맥쿼리 대학의 연구입니다.하지만 동일한 체지방률이라 하더라도 사람의 키와 체형, 근육량에 따라 많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연구의 내용은 18~30세 사이의 남녀 192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얼굴을 가린 채, 컴퓨터 그래픽을 사용하여 체지방에 따른 체형을 만들어 체지방 범위에 따라 개인이 느끼는 매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입니다. 연구는 서로 다른 이성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본인 성별을 포함하여 이성의 매력도를 평가하였습니다.위 4장의 사진은 192명의 참가자들이 이상적인 체형으로 뽑은 그래픽 사진입니다. 이상적인 남성의 체형은 모두 동일하게 16%대 체지방률에 속한 사진을 매력적이라고 판단했고, 이는 남성의 정상 체지방 범위에 속합니다.하지만 여성의 경우는 21% 미만의 체지방으로 정상 체지방률 보다 낮은 범위의 사진을 가장 이성적인 체형으로 선택하였습니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이렇습니다. 일반적으로 매력적인 남성의 체형은 근육량의 차이 없이 정상 체지방 범위에 속한 경우를 가장 매력적이라 선택했습니다.다만 여성의 경우는 근육량에 상관없이 정상 체지방 범위보다 낮은 사진을 매력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하지만 앞서 살펴본 것처럼 체지방률에 따른 체형은 개인의 따라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이러한 연구는 단순히 참고 정도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또한 운동을 하다 보면 알게 되는 것은 결국엔 누군가의 시선이 아닌 나를 만족할 수 있는 체형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목표를 잡기 때문에 스스로의 기준이 가장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