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 보충제 원료 유형 : 단백질 원료의 5가지 유형

단백질은 탄수화물이나 지방과 같은 영양소에 비해 식품에서 섭취하기가 까다로운 편입니다.​실제로 닭 가슴살처럼 단백질 비율이 높은 특정 식품을 제외하면 대개는 탄수화물이 가장 많고 그다음이 지방, 단백질 순으로 식품의 영양소 비율이 나눠집니다. 그래서 보충제는 대부분 단백질 제품을 판매합니다.​또한 단백질은 신체를 구성하는 가장 구조적인 물질이기 때문에 매일 일정량의 단백질을 섭취해 주어야 신체 기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그래서 단백질 보충을 위해 보충제 구매를 고려할 때, 여러 유형의 단백질 원료가 있기 때문에 내게 맞는 단백질 보충제가 어떤 것인지 고민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단백질 보충제는 단백질의 원료에 따라 유청 단백질, 카제인 단백질, 대두 단백질, 완두 단백질, 현미 단백질로 크게 5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는 유청 단백질입니다.​유청 단백질은 우유에서 추출한 단백질로써, 버터나 치즈를 만드는 과정에서 분리되는 부산물에서 단백질을 분리하여 만들어진 단백질입니다. 특히 유청에서 추출한 단백질은 보충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원료입니다.​유청 단백질은 동물성 단백질로 분류되는데 그만큼 BCAA가 풍부하고,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하며 빠르게 소화되는 특징을 보여줍니다.​유청 단백질은 또한 가공방법에 따라 유청 단백질, 농축유청단백질, 분리유청단백질, 가수분해분리유청단백질로 나누어집니다.​보통 유당불내증을 가지고 있는 경우 우유를 소화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하지만 유청 단백질은 우유에서 추출한 단백질이지만 가공 과정에서 유당이 어느 정도 제거되기 때문에 심각한 유당불내증을 겪지 않는 한 유청 단백질을 섭취하는데 불편함이 없습니다.​특히 분리유청단백질(WPI)같은 경우 유당이 대부분 제거된 상태이기 때문에 우유를 소화하지 못하는 사람이라도 불편함 없이 섭취가 가능합니다.​보통 유청 단백질은 소화 흡수가 빠르기 때문에 운동 직후 단백질 보충을 위해 섭취하는 경우가 많고, 고품질의 단백질을 섭취하려는 사람들에게 적합하며, 유당 불내증을 가지고 있는 경우 유당이 제거된 분리유청단백질을 섭취해 주어야 소화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두 번째는 카제인 단백질입니다.​카제인 단백질 역시 유청과 같이 우유에서 추출한 단백질이며, 치즈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입니다. ​그래서 유청 단백질과 같이 동일하게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하지만 반대로 소화 흡수는 천천히 이루어진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카제인 단백질의 평균 소화 시간은 4~5시간으로 유청 단백질에 비해 매우 천천히 이루어지고 보통 장시간 단백질을 흡수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카제인 단백질은 보통 식사 시간의 텀이 길어지거나, 수면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 한 저녁 식사 후 밤중에 섭취를 하여 천천히 단백질이 흡수되도록 사용합니다. 세 번째는 대두 단백질입니다.​대두단백질은 유청 단백질 다음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백질 원료입니다.​보통 유당불내증을 가지고 있거나, 유제품 섭취를 꺼리는 경우, 또 채식주의자들에게 있어 주로 섭취하는 단백질이기도 합니다.​대두 단백질은 지방이 적고 콜레스테롤이 없다는 특징이 있으며, 식물성 단백질이지만 아미노산 프로필이 풍부하고, 유청 단백질에 비해 원료의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하지만 대두단백질의 원료가 GMO인 경우가 많고, 남성들은 콩과 같은 식물성 단백질에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분자 구조가 비슷한 이소플라본으로 섭취를 꺼려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네 번째는 완두 단백질입니다.​완두 단백질은 대두단백질과 같은 식물성 단백질이지만, 대두단백질과 다르게 GMO 이슈에서 자유롭고, 이소플라본이 거유 함유되지 않아 호르몬 문제에서도 섭취에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그래서 위와 같은 이슈로 대두 단백질 섭취를 꺼려 하는 사람들에게서 완두 단백질이 대용품으로 선택하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물론 대두 단백질에 비해 단백질 함량은 낮은 편이어서 단독으로 섭취하기보다는 다른 단백질과 함께 섭취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현미 단백질입니다.​현미 단백질 역시 보통 대두 단백질의 대용품으로써 섭취하는 경향이 강합니다.​하지만 마찬가지로 아미노산 스코어가 대두단백질에 비해 떨어지는 편이기 때문에 보통 완두 단백질과 함께 섭취하여 부족한 아미노산 스코어를 보완해 주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현미 단백질은 앞서 살펴본 카제인 단백질과 같이 소화가 천천히 이루어지는 편이고, 미숫가루와 비슷한 맛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먹기에 나쁘지 않지만 가격대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기 때문에 선호도가 높은 제품은 아닙니다.​

인프로틴

logo
LOG IN 로그인
  • 제품
    • 브랜드
      • 브랜드 소개
      • 브랜드 미션
    • 후기
      • 정보
        • 고객센터
          • 1:1문의
          • 자주하는질문
          • 이벤트

        인프로틴

        logo
        • 제품
          • 브랜드
            • 브랜드 소개
            • 브랜드 미션
          • 후기
            • 정보
              • 고객센터
                • 1:1문의
                • 자주하는질문
                • 이벤트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인프로틴

              logo

              인프로틴

              logo
              • 제품
                • 브랜드
                  • 브랜드 소개
                  • 브랜드 미션
                • 후기
                  • 정보
                    • 고객센터
                      • 1:1문의
                      • 자주하는질문
                      • 이벤트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인프로틴

                    logo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 블로그
                    밴드
                    구글 플러스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사업자정보확인

                    상호: 인프로틴 | 대표: 허태영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허태영 | 전화: 070-7722-1700 | 이메일: inprotein@inprotein.co.kr

                    주소: 경기도 이천시 향교로 144-11, 2층 202호(창전동, 현대상가) | 사업자등록번호: 425-01-01715 | 통신판매: 제 2020-경기이천-0121호 | 호스팅제공자: (주)식스샵

                    floating-button-i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