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신경성 실신이란 사람들이 경험하는 실신 중에서 가장 흔한 유형입니다. 보통은 피를 보거나 바늘과 같이 본인에게 공포를 유발하는 상황이나 극심한 스트레스와 같은 특정 요인으로 인해 신체가 과민 반응하면서 기절하게 됩니다.일반적으로 젊은 성인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대개는 건강상 문제가 되거나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실제로 처음 실신을 경험해 두려운 마음으로 병원에 방문하더라도 의사들도 대수롭지 않게 미주신경성 실신으로 진단하고 안심을 취하게 만듭니다. 미주신경이란 뇌 신경 중에서 가장 길고 넓게 분포되어 있는 신경으로 심장이나 폐, 혈관과 위장관의 대부분을 통제합니다.그만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혈압이나 심박수 조절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특정 상황으로 인해 미주 신경이 자극받게 되면 심박수가 느려지고 혈관이 넓어지면서 다리로 혈액이 고이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순간적으로 혈압이 낮아지면서 뇌로 가는 혈류가 급격히 감소하게 되어 실신으로 이어집니다.이는 기립성 저혈압에서도 같은 원리로 작동합니다. 보통 앉거나 누워있다가 갑자기 일어나면 중력의 영향으로 뇌로 가는 혈류량이 순간적으로 줄어 어지럽고, 눈앞이 캄캄해지며, 심한 경우 실신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두 증상 모두 일시적으로 자율 신경의 실조가 일어나 나타나는 증상으로 건강한 사람에게서도 나타날 수 있는 증상들입니다.하지만 처음 진단을 받는 것은 중요합니다. 본인이 살면서 처음으로 실신을 경험하고 특별한 이상 증세를 느끼지 않아 자의적으로 자가 진단을 하는 것은 다른 위험 요인을 배제했을 가능성도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따라서 이전에 한 번도 실신을 경험한 적이 없다가 증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반드시 내과에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또한 기절하는 순간 주변 물체로 인해 머리가 다칠 수도 있기 때문에 실신으로 머리에 부상을 당했다면 반드시 검사를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미주신경성 실신을 예방하는 특별한 방법은 없습니다. 다만 본인이 특정 상황에서 미주신경성 실신을 경험한다면, 가능한 그러한 상황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만약 평소 극심한 스트레스로 미주신경성 실신을 경험하거나 가슴이 두근거리고, 구토감이나 멀미. 답답한 느낌이 든다면 공황장애를 의심해 볼 수 있기 때문에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